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방법 총 정리
서울시가 “기후동행카드” 시범판매를 발표했습니다. 서울 시내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권이라고 하며 대중교통을 시민의 기본권이자 기후위기 대응의 필수재로 인지했습니다. 24년 1월~5월 시범 운영 이후 보완을 거쳐 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할 예정입니다. 오늘은 기후동행 카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방법에 대해 총 정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 월 6만 5천원으로 무제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카드 입니다.
- 시민 50만 명이 1인당 연간 34만 원 이상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카드 입니다.

기후동행카드 이용방법
- 지하철
- 버스 (서울시내 및 마을버스 모두 이용 가능)
- 따릉이 (1시간 이용권 무제한 이용가능)
- 리버버스 (24년 9월 개통)

기후동행카드 구입 방법
- 모바일 구입 및 충전
- 실물 카드 판매 예정
- 2024년 1월 ~ 5월 시범운영 (월 단위 충전이 가능)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사용 효과
- 1인당 교통비 최소 연간 34만원 절약 효과
- 탄소중립 동참
- 서민 가계 부담 해소
- 자유로운 이동 보장

기후 동행카드 필요한 이유
- 세계적인 기후 위기와 공공요금, 에너지가격 상승으로 인해 서민의 금전적 부담 증가 해소
최근 기후 위기가 지속되면서 독일, 프랑스 등 여러 국가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무제한 통합 교통카드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선진 국가들과 같이 기후동행 카드를 통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시민 이동권을 보장하는 발판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기후동행 카드 도입 시 대중교통 활성화로 인해 연간 약 1만 3천 대 승용차 이용 감소, 온실가스 연간 3만 2천 톤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 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2021년 기준 서울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52.9%로 2018년 65.1%보다 줄었습니다. 반면 승용수단분담률은 같은 기간 24.5%에서 38%로 늘어났습니다. 특히 최근 물가, 에너지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른 데다 버스 요금에 이어 지하철 요금 인상도 예정되어 시민이 체감하는 가계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요금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도 있겠습니다.
국제 유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범지구적 폭염, 폭우, 가뭄 등 기후 위기 징후가 나타나면서 세계 여러 국가도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1 thought on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방법 총 정리 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