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세계보건기구 WHO 에서 엠폭스(원숭이두창 바이러스)를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 국제적으로 전염 확산 사태가 세계공중보건 비상사태에 해당이 된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최고 수준의 경보를 했습니다. 오늘은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에 대해 총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란?

  • 엠폭스 바이러스(Mpox virus)는 원숭이 두창 바이러스의 새로운 명칭입니다.
  • 주로 아프리카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는 바이러스 성 감염 질병입니다.
  • 감염 경로는 사람과 동물 간의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감염된 사람의 피부 발진, 발열, 림즈절 비대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엠폭스는 원숭이두창과 비슷한 증상을 보이며, 감염자는 2~4주 동안 감염 증상을 경험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피하며,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 증상 7가지

  • 발열
  • 두통
  • 림프절 비대증
  • 피부 발진
  • 근육통
  • 피로감
  • 호흡기 증상(코막힘, 기침, 인후염)

해당 증상들을 모두 겪을 수도 있고 몇 가지만 겪을 수도 있습니다. 증상은 보통 감염체와 접촉 이후 2~4주 이후 발현합니다.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 감염경로

  • 성적 접촉 또는 친밀한 접촉(구강, 항문, 질을 통한 성교)
  • 포옹, 키스, 마사지 행위 (호흡기를 통한 비말 또는 체액 접촉)
  • 세탁하지 않은 침구 및 수건이나 의복 공유
  • 동물 접촉 (감염된 동물과의 접촉을 통해 전파)

위 글에 대한 내용으로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감염된 사람이나 동물과의 접촉을 절대 피해야하며, 개인 위생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 관련주

  • 미코바이오메드
  • 랩지노믹스
  • 그린생명과학
  • 휴마시스
  • 엑세스바이오
  • 신풍제약
  • 진매트릭스
  • 얀센
  • 노바백스
  • 모더나
  • 바이오엔텍

미코바이오메드 : 2020년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 상장을 하였습니다. 랩칩(Labchip) 기술을 바탕으로 현장 진단키드에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랩지노믹스 : 2002년 설립 되어 체외진단서비스와 진단제품 개발업을 영위하는 기업 입니다.

그린생명과학 : 2005년 4월 설립이 되었으며, 2009년 12월 코스닥에 상장 되었습니다. 원료의약 및 의약품 중간체를 생산 및 공급하고 있습니다.

휴마시스 : 2000년 6월 설립이 되었습니다. 체외 진단용의료기기를 생산하고 있으며, 체외 진단 분야 중 POCT 면역 분석시약 제품을 등 특화된 연구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엑세스바이오 : 체외진단 기술을 토대로 면역 화학진단 및 바이오 센서 등 분자 진단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 개발, 제조 판매하는 기업 입니다. WHO, UNLCEF 등 국제기구 및 각국 보건복지부 주관의 입찰 시장을 통하여 각 국가의 병원, 보건소등 제품을 보급하고 있습니다.


신풍제약 : 완제의약품 및 원료의약품 등의 제조 및 판매 기업이며, 해외현지법인을 비롯해 해외 약 50여개국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진매트릭스 : 2000년 설립되어 자체 개발한 분자진단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질병을 일괄 진단하는 의료기기 개발 및 판매하는 기업 입니다.

엠폭스 증상 7가지와 확산 및 관련주 총 정리 No.1

엠폭스 치료방법

  • 항바이러스제 테코비리마트 약품으로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 가벼운 증상이 발현하기 때문에 대증치료만으로 자연 회복이 됩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할 때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여 치료를 합니다.
  • 예방하기 위해 백신을 필수이며, 개인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여 예방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어떠한 바이러스든 예방적 백신이 필수이며, 철저한 위생 관리로 전염이 되지 않게 조심해야 됩니다. 혹여나 해당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 하여 진단을 받고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Leave a Comment